UNIST, 뇌 동작 정밀 모사하는 차세대 반도체 소자 개발
2차원 소재 기반의 이중 플로팅 게이트 소자 구현…고밀도 데이터 정밀 제어 가능해 UNIST 신소재공학과 및 반도체 소재·부품 대학원 서준기 교수팀이 2차원 물질 기반의 뇌 기능을 정밀하게 모방할 수 있는 이중 플로팅 게이트(Double-floating-gate) 반도체 소자를 개발했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컴퓨팅 시스템은 데이터의 ‘연산’과 ‘저장’이 독립적인 영역으로 구분돼 있어 동작 과정이 순차적으로 진행된다. 이러한 컴퓨팅 시스템은 데이터가 복잡해지고 회로당 소자의 수가 늘어남에 따라 높은 전력 소모와 느린 연산 속도를 유발한다. 반면, 인간의 뇌는 약 1000억 개의 뉴런 및 뉴런과 뉴런 사이에 존재하는 약 1000조 개의 시냅스가.......
출처: 헬로티 공식 블로그 https://ift.tt/uRpxToP
https://ift.tt/iIr2Kxb
출처: 헬로티 공식 블로그 https://ift.tt/uRpxToP
https://ift.tt/iIr2Kxb
댓글 없음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